Standalone, (x)inetd 데몬 관련 내용
데몬
서비스(Service) 라고도 부르는 데몬(daemon)은 서버 프로세스를 말한다. 즉 웹서버, 네임서버, DB 서버 등의 프로세스를 지칭해서 데몬이라고 부른다. 다르게는 웹 서버 데몬, 네임 서버 데몬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데몬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현재 시스템에서 활동 중인 프로세스므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라고 할수 있다.
데몬=서비스=서버 프로세스 정도로 이해
서버 데몬의 유형
서버 데몬은 Standalone 타입의 데몬과 xinetd 타입의 데몬으로 나뉜다
- Standalone 타입의 데몬 설명
-시스템에 독자적으로 프로세스가 구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몬을 말한다. 예로 웹서버(httpd), DB 서버(my-sql), 샌드메일 서버(sendmail) 등이 있다.
- 실행 및 종료는 대개 service 데몬 이름 start/stop/restart로 사용한다. 예로 NFS 서버는 "service nfs start" 명령으로 구동한다.
-standalone 타입 데몬의 실행 스크립트 파일은 /etc/init.d/ 디렉토리에 주로 들어 있다. 단 이 디렉토리에 있다고 전부 데몬이라고 애기하지는 않는다.
이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은 대개 service 서비스 이름 [실행 옵션]으로 실행이 가능하다. 또한 /etc/init.d/서비스 이름 [실행옵션]으로 실행하는 것과 동일하다. 즉 'service nfs restart' 명령이나 /etc/init.d/nfs restart 명령은 동일한 명령이다.
-/etc/init.d/ 디렉토리의 실행 스크립트(standalone 타입의 데몬)는 부팅 시에 자동실행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system-config-services 명령으로 /etc/init.d/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과 왼쪽의 서비스 목록 창과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상에 항상 구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주 호출되는 서비스(데몬)는 standalone 타입의 데몬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예로 웹 서버 데몬, 삼바 서버 데몬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가끔 사용되는 서비스(데몬)를 standalone 타입의 데몬으로 사용하면 사용되지 않는 시간에도 항상 메모리상에 구동되어 있으므로 시스템 자원의 낭비를 가져온다.
- xinetd 타입의 데몬 설명
-xinted 데몬은 일명 수퍼 데몬 이라고도 부른다. 수퍼(Super)의 의미는 다른 데몬의 상위에 존재한다는 뜻으로, xinted 데몬은 다른 하위의 데몬을 지배하는 상위 데몬이다.
-주의할 점이 있는데, xineted 데몬과 xinted 타입의 데몬은 다르다. xinted 데몬 자체는 standalone 타입의 데몬으로 항상 프로세스가 구성되어 있다.
-xinted 데몬 자체는 항상 가동 되고 있지만 , xinted 데몬이 하는 역활은 자신이 직접 서비스를 하지 않고, 외부에서 특정 서비스 요쳥할 경우에 자신에게 종속된 하위 데몬(이를 xinted 타입의 데몬 이라 부름)을 구동시킨 후에 그 데몬이 서비스르 하도록 연결시켜주는 것이다. 그리고 서비스 요쳥이 종료되면 구동되었던 하위 데몬도 자동으로 종료된다.
그래서 xinted 데몬과 관련된 서비스를 요쳥 시에는 처음 연결 되는 시간이 standalone 타입의 데몬에 비해서 약간 더 걸릴 수 있다. 왜야하면 xinted 데몬이 서비스르 수행하는 하위 데몬을 새로이 구동하기 위한 시간이 소요되기 떄문이다. 대표적인 예로 텔넷 서버를 들 수 있다.
- xinetd 타입의 데몬으로 사용하기 적당한 데몬은 가끔 사용되는 데몬이다. 가끔 사용되는 데몬을 항상 메모리에 구동시켜 놓는다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주 사용되는 데몬은 xinetd 타입의 데몬으로 설정해 놓는다면 데몬을 구동하고 종료 하는 것을 게속 반복해야 하므로 오히려 시스템에 부담을 줘 서비스 속도가 현저히 느려질 수 있다.
그래서 FTP 서버의 경우에는 서버가 FTP 서버를 주용도로 사용할 때는 standalone 타입의 데몬으로, 그렇지 않고 FTP 서비스를 가끔 할 경우에는 xinetd 타입의 데몬으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데몬에 관한 정보 --> http://geundi.tistory.com/43